비고츠키1 비고츠키의 손상학 이론과 인성교육 비고츠키의 손상학 이론은 처음에는 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했지만, 이후 자신의 연구 분야를 비장애인으로 확장했다. 하지만 그의 이른 죽음으로 인해 미완성으로 남게 됐다. 하지만 비고츠키 심리학은 이후 연구자들에 의해 발전을 이룬 결과, 비고츠키가 적용하려던 손상학 내용의 짐작이 가능해졌다. 비고츠키 심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등정신기능의 사회적 기원’, ‘내면화’, ‘근접발달영역’ 등의 개념에 비추어 손상학이 인성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 고등정신기능의 사회적 기원 비고츠키 심리학 이론의 기본적인 가정은 인간의 고등정신기능 발달에 관한 것이다. 그가 생각한 고등정신기능의 성장은 인간이 처한 세계, 즉 사회·문화의 역사와 상호작용하며 이루어진다. 그는 고등정신기능을 시간적으.. 2020. 2.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