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나를 위한 일상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벌집군집붕괴현상

by 자스민차향기조아 2023. 6. 16.

 

벌집군집붕괴현상이란?

최근 몇 년 동안 세계적으로 꿀벌의 개체 수가 갑자기 감소하는 벌집군집붕괴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이 나타나고 있다. 꿀벌은 우리의 생태계에서 식물의 꽃가루를 수분시켜 식물의 번식을 돕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꿀벌 외에도 나비나 파리, 심지어 모기조차도 식물의 수분을 돕지만, 그중에서도 꿀벌은 우리 인간에게 각별한 존재다. 바로 꿀을 생산해준다는 것. 다른 곤충들은 혐오감과 질병도 함께 옮기지만 꿀벌만큼은 인간에게 이로운 존재로서 인식되어 왔고 실제로도 그렇다.

지구상의 식물 중 3분의 1은 꿀벌의 도움으로 수분시킨다. 인간이 먹는 채소와 과일의 대부분이 꿀벌의 도움을 받아서 열매를 맺는다는 얘기다. 꿀벌이 수분시키는 식물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면 무려 연간 175조 4천억에 달한다고 한다. 게다가 수분하는 과정에서 토양에 질소와 인산염 등 천연 비료를 공급하여 식물의 생산성을 높여주고,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고 산소를 증가시켜 공기정화에도 도움을 주는 아주 고마운 곤충이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꿀벌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면서 자연 생태계와 세계적인 식량 생산에 대한 중대한 우려를 일으키고 있다. 정확히는 2006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됐다고 알려지고 있는데 이후 미국의 꿀벌이 무려 40%나 감소했다고 한다. 이제는 캐나다, 독일, 스페인, 브라질, 대만 등에서도 이 현상이 나타났고 지금 우리나라에서도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다.

https://v.daum.net/v/20230518184302764

 

"꿀벌 없어 사과·포도·딸기 농사 다 망칠 판"…애그플레이션 공포

불과 1년 남짓 동안 한반도에서 꿀벌 340억 마리가 사라졌다. 소멸에 가까운 실종에 당장 직격탄을 맞은 곳은 과수농가다. 꽃들이 수분하지 못해 올해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 것을 우려하고 있다.

v.daum.net

https://v.daum.net/v/20230523161137643

 

'꿀벌 감소' 전라도 광양매실 수확량 30% 감소할 듯

[헤럴드경제(광양)=박대성 기자] 전남 광양시는 23일 원예농협 다압매실선별장에서 올들어 첫 매실 출하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23일 광양시에 따르면 올해 광양매실 생산량은 개화기 이상기온과

v.daum.net

 

꿀벌의 갑작스런 감소 벌집군집붕괴현상의 원인

꿀벌의 개체수가 감소하는 벌집군집붕괴현상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요요인으로 현재 여러 가지가 언급되고 있다.

  • 살충제 사용
    농사에 살충제란 농산물의 품질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것 같지만 벌과 같은 수분 전달 매개체에게는 예상치 못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곤충을 포함한 벌레를 죽이는 용도의 성분이다보니 꿀벌의 신경계를 파괴하고 행동양식이나 기타 전반적인 건강과 생명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 꿀벌은 살충제가 살포된 작물에 직접 접촉하거나 오염된 꽃가루와 꿀을 섭취함으로써 살충제에 노출되며, 장기간에 걸쳐 이러한 화학 물질에 노출되면서 당장은 죽지 않더라도 점차 약화된 면역 체계 때문에 꿀벌응애와 같은 질병과 천적의 위협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
  • 서식지 파괴와 단편화
    꿀벌을 위한 자연 서식지가 파괴됨으로써 벌들에게 필수적인 꿀을 수집하기 곤란해진 것이 요인일 수 있다. 도시화로 인한 산림 파괴, 농지 증가로 인해 다양하고 적합한 서식지가 크게 감소되었고, 꽃가루와 꿀을 얻을 수 있는 꽃들의 다양성이 상실되면서 결국 꿀벌이 생존하기 어려워졌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기후 변화
    온도 상승, 변화된 강우 패턴, 극단적인 기상 사태 등이 여러 꽃들의 개화시기와 기간이 변화되도록 만들었고 이로 인해 꿀벌들이 꿀을 따기에 적절한 시기와 타이밍에 대한 감을 잃었다는 것이다. 또, 기후 변화가 꿀벌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해충, 천적, 질병의 확산을 불러와 결과적으로 꿀벌의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 유전적 병목현상
    지난 수천 년 동안 인간은 여러 동식물을 가축화하여 선택적으로 번식시켜왔는데, 곤충 중에서는 꿀벌, 누에와 같은 것들을 예로 들 수 있다. 문제는 가축화 과정에서 유전적 병목현상이 발생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젖을 많이 생산하는 소, 더 뚱뚱한 돼지, 알을 많이 낳는 닭 등 인간에게 이로운 종을 선택적으로 번식시킴으로써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소, 돼지, 닭의 유전적인 다양성이 훼손될 수 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동식물의 적응력이 낮아져서 환경적인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꿀벌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여왕벌에 유전적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개체수가 줄어들게 되었다는 것이다.

 

벌집군집붕괴현상이 가져올 영향

벌집군집붕괴현상으로 인한 꿀벌의 갑작스런 실종은 환경과 인간 사회 양쪽에 다음과 같이 광범위한 영향을 끼친다.

  • 농업의 혼란
    과일, 채소, 견과류 및 기름종자 등 많은 작물의 수분에 필수적인 꿀벌의 개체수 감소는 자연적인 수분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농산물의 수확량이 줄어들고, 품질이 떨어지게 되어 농가의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는 물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경제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으며 식량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
  • 생물 다양성의 상실
    벌은 농작물의 수분 전달자로서만 아니라 생태계 생물 다양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꿀벌의 수분 활동이 숲, 초원, 습지 등 자연 서식지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 종의 번식과 생존을 보장하는데 벌의 개체 수가 감소함에 따라 식물-수분 전달자 상호작용이 지장을 받아 식물의 번식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꽃의 다양성 상실은 물론 생태계의 다른 생물에 대해서도 적지않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 생태학적 균형의 교란
    벌은 생태학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분 전달뿐만 아니라 작물을 해치거나 질병을 전염시킬 수 있는 해충을 포함한 다른 곤충의 개체 수를 조절하는 역할도 하고 있는데, 벌의 개체수가 감소함으로써 이러한 세밀한 균형 상태를 교란시킬 수 있으며, 해충 발생 증가, 식물 다양성 감소 및 생태계의 균형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벌집군집붕괴현상 대응 방안

벌집군집붕괴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양육사, 정책 결정자, 연구자 및 일반 대중 등 여러 이해 관계자들의 종합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통합적 해충 관리
    화학 살충제 사용을 최소화하고 대안적인 해충 통제 방법을 개발하는 등의 통합적 해충 관리가 필요하다. 통합적 해충 관리는 해충 예방, 모니터링 및 덜 유해한 해충 통제 방법의 우선순위를 두는 생태학적 접근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벌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유독 화학 물질에 대한 벌들의 직접 노출을 줄이고 벌과 작물 모두에게 건강한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다.
  • 벌 서식지 보전
    벌 개체를 위한 자연 서식지를 보전하고 복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꽃 다양성을 가진 지역 보호, 도시 및 농경지에 벌 친화적인 서식지 조성, 서식지 파편화 최소화를 포함한다. 우리나라 고유의 토종 식물 중에는 밀원식물이 많은데 이러한 다양한 식물을 많이 식재하여 야생화 초원을 조성함으로써 자연적인 벌 서식지를 복원해야 한다.
  • 대중의 인식을 위한 홍보와 교육
    벌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벌들이 직면하고 있는 위협과 개인이 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해 홍보와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국민 개개인이 자택 마당과 주변에 꿀벌 친화적 화단과 정원을 조성하고 꽃에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변두리나 도심에서도 옥상같은 공간을 활용해 소규모 양봉활동을 한다든가 하는 움직임이 활성화되면 의외로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 연구와 협력
    지속적인 연구는 벌집군집붕괴현상에 기여하는 복잡한 요소를 더 잘 이해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꿀벌 감소를 막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전체 생물학 분야의 연구에서의 비중은 아직 미미하다. 그만큼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 현실에 대한 자각이 부족한 상황인데, 과학계의 관심과 과학자, 양봉사업자 및 정치계 간의 협력을 통해 관련 지식을 공유하고, 혁신적인 실천법 등에 대한 지원 정책이 확대된다면 꿀벌의 대량 멸종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될 것이다.

https://v.daum.net/v/20230615030202446

 

백신·로봇·AI, 모든 게 투입됐다 과학자들의 ‘꿀벌 살리기 대작전’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꿀벌의 감소는 단순히 개체 종에 대한 피해에 그치지 않고 인류의 식탁까지 위협할 수 있다. 꿀벌은 식물의 꽃가루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 식량 생산

v.daum.ne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