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나를 위한 공부/특수교육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 방법

by 자스민차향기조아 2019. 12. 15.

지적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부분에서 교사의 배려가 필요하다. 일반 교육과정 외에 장애 정도와 특성에 따른 기능적 학업교과를 학습하도록 하거나, 학습준비기술 습득을 중점적으로 지도하고, 장애가 너무 심하여 교과 학습이 어려운 경우는 일상생활기능 중심 교육과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서든 통합학급 교사는 통합된 학생의 교육적 필요를 잘 파악하여 적절한 교육내용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1. 교육원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적 지원에서는 학생의 강점을 찾아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여기서 강점이란 다른 학생들보다 우수한 점이 아니라 개별 학생의 우수한 점을 말한다. 지적장애 학생이 어떤 강점을 갖고 있는지 찾아내고 활용하여 교육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지적장애 학생은 단지 배우는 속도가 느리고 더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할 뿐이지, 다른 학생과 학습하는 방식 자체가 다른 것이 아니라는 점을 전제로 해야 한다.

  • 정신연령이 아니라 생활연령에 맞는 활동에 수준에 맞도록 조정하여 참여해야 한다.
  • 학교 및 학급의 교육환경이 자연적인 비율에 맞추어 이루어져야 한다. 예컨대, 전교생과 장애학생의 비율이 학급당 한 명꼴이 되지 않는다면, 실제로도 한 학급에 장애학생을 한 명 이상 배치해서는 안 된다.
  • 지적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학생의 특수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여 지원해야 한다.
  • 자비가 아닌 존중이 되어야 한다. 장애학생을 불쌍해하고 동정하거나 아기 대하듯 해서는 안 된다. 동등한 학생으로 존중하고, 현재 수준과 능력에서 약간 난이도가 높도록 과제를 제시하고 과제 해결을 위해 도전할 기회와 도움을 같이 제공해야 한다.
  • 행동주의에만 입각한 학습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다양한 학습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행동주의 학습기법은 행동수정, 과제분석, 고도로 통제된 구조화된 수업 환경과 절차에 근거하고 있는데, 특정 상황에 필요한 특정 기술을 훈련시키는 데 더없이 효과적인 기법이지만 학생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같은 교육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2. 교육내용 선정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내용 선정을 위해서는 전임 담임교사, 특수교사, 학부모 등과 면담과 긴밀한 협조체제 안에서, 과거 학습목표와 목표의 달성 여부, 성취 결과의 유지 및 일반화를 위해 사용한 전략 등의 정보, 학생의 현재 수행능력, 매일의 활동내용, 학생이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학습할 필요가 있는 활동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야 하며,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적응행동기술이나 일상생활 기능에 대한 정보도 수집해야 한다. 일단 학생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수집하고 분석하여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고, 다양한 교육과정 및 활동 지침서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교육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방법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교육방법은 크게 교사 주도의 교수방법, 학생 주도의 교수방법, 또래 주도의 교수방법이 있다. 

가. 교사 주도의 교수방법

교사의 체계적인 사전 계획에 따라 진행되는 교수로 과제분석과 모델링 등이 있다. 과제분석은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선행기술이 무엇인지 먼저 분석하고, 해당 과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하위단계를 분석하여 순차적으로 교수하는 방법이다. 모델링은 교사가 직접 과제를 수행하는 장면을 보여주는 방법인데, 먼저 시범을 여러 번 보인 후 학생이 따라 하게 한다. 교사가 시범을 보인 기술을 학생이 모방하고 숙달되도록 많은 연습을 시키고, 강화와 피드백을 많이 제공해야 한다.

나. 학생 주도의 교수방법

학생의 독립성을 증진시키는 교수방법으로서, 자기점검, 자기교수, 자기강화와 같은 자기조절 기술을 사용하도록 교수하는 것이다. 자기점검은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기록하게 함으로써 자기 행동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여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며, 자기강화법은 미리 약속된 기준에 따라 스스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기교수법은 스스로 과제수행 단계를 말하면서 과제를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아직 완전히 숙달되지 않은 과제를 가르칠 때 효과적이다. 자기점검과 자기강화는 이미 알고 있는 행동의 빈도를 높이고자 할 때 많이 사용한다.

다. 또래 주도의 교수방법

학급의 인원수가 많고 이질적인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지적장애 학생이 필요로 하는 추가적인 연습과 개인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하여 또래 친구들을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또래교수법이다. 대부분 같은 반 친구가 또래교수자가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상급학년 학생이 또래교수자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또래교수자는 새로운 것을 가르치기보다 이미 배운 내용을 복습하거나 연습하는 것을 도와주고 피드백과 강화를 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래교수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면밀한 사전 계획이 중요하며, 또래교수자가 정기적으로 교사와 만나 지시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양한 능력의 학생이 소그룹으로 모여서 학습하는 협력학습 방법도 통합된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또래 주도의 교수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외에 지적장애 학생의 기술 습득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촉진 방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