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나를 위한 공부/특수교육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by 자스민차향기조아 2019. 12. 30.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은 성취기준을 표준으로 제시한 성취기준 중심 교육과정으로, 표준으로 제시된 기준을 학생들이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이 기준 충족을 위해 보여주어야 할 기능, 지식, 행동이 무엇인지 선별하고, 학생들이 기준에 명시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 무엇인지 선별하는 것을 돕는다

전통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에서 성취기준 중심 교육과정으로 이동하는 데 있어 현장 교사들에게는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첫째는 주어진 성취기준 중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해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활동들을 찾아야 한다는 점이며, 둘째는 이러한 성취기준 중심 교육과정에 평가준거 및 평가기준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이 요구된다. 교육과정 문해력이란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문서를 읽고 해석하여 교육과정 재구성과 배움 중심 수업 성장 중심 평가를 실행하는 교육과정 상용 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정도에 따라 교육과정을 학생의 요구와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이라는 개정 목적에 맞게 운영할 수 있는지가 좌우된다.

영국과 미국 등의 국가에서 기준을 적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준거지향 절대평가 중심의 교육이 다양한 요구를 가진 학습자의 학업성취 향상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시작됐다. 국가 수준에서 표준화된 기준을 제시하여 질적인 통제를 함으로써 전반적인 학업성취 향상을 이끌어가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성취기준 도입 배경은 조금 다르다. 영미권은 다양성과 자율성을 중시한 교육과정에서 획일화된 표준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이동했는데,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만들어왔고, 오히려 획일화된 교육과정에 대해 비판받고 다양화 요구가 제기됨에 따라 제6차 교육과정부터 지역 및 학교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비중을 두기 시작했다. 그러면서도 제6차 교육과정 말미부터 성취기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것은 공정한 평가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에 대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학교 책무성 강화의 이유 때문이었다.

특수교육대상학생도 교육의 보편적인 목적에서는 예외일 수 없으므로, 학교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이 학습한 내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개별 학생이 각자의 의사소통 및 학습양식에 따른 적절하고 공정한 평가를 받도록 보장함으로써 학교의 책무성을 지켜야 한다성취기준 중심 교육과정은 교과서 중심 수업에서 교육과정 중심 수업으로의 전환을 꾀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지 못했거나 불공정했던 평가 과정에 대하여 학교의 책무성과 공정성을 강조하기 위한 패러다임 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교육뿐만 아니라 특수교육에서도 학생들이 적절하고 공정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추구하면서, 전체 학령기를 지나면서 학교급별로 구성된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이수함으로써 개별 학생이 길러야 할 역량을 학년군별 성취기준으로 체계화하여 제시하였으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무엇을 통해 어떻게 도달하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통해 교육 활동의 질을 확보하도록 일선 학교와 교사에게 제기하고 있다.

중등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적 교육과정으로서 기본 교육과정이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학습자의 독특한 교육적 요구와 개별성의 범위가 워낙 넓어서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어떻게 개별 학습자 수준의 맞춤형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을 마련할 것인가, 어떻게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을 실천하고 배움이 일어나는 평가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는 특수교육의 학업적 측면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대한 질적 담보로서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에 기인한다.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배제로 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기본 교육과정 개발의 지연
  •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별 성취기준
  • 개별 학생의 교육적 요구 충족에 대한 이상과 실제 간에 간극이 큰 기본 교육과정 평가
  • 교사의 평가 전문성 및 평가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체계 부재
  • 교육의 보편성 측면이 강조되는 경직된 학생평가 기록 체계

교육과정 측면에서 국가수준의 문서화된 기본 교육과정 학년군별 성취기준에 대한 개별 학생 수준의 맞춤형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단원이나 영역에 반영하여 평가를 실시하고자 할 때, 개별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특성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학급 수준의 교육과정이 편성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이 무엇보다 요구된다. 학생의 성취기준 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근거와 다양한 개별성 반영을 위한 평가기준이 필요하고, 이러한 근거와 기준이 수립되어야 비로소 평가도구나 평가문항을 포함한 평가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평가준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은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을 얼마나 잘 성취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기본 교육과정의 평가준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중도 발달장애 학생의 교육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편적 측면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본 교육과정이 지닌 성격적 측면과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각 교과별 성취기준의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보편성과 특수성의 균형을 맞춘 평가 방안 마련이라는 측면에서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평가준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제공이 시급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