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 A Good Fragrance of Jasmine Tea
나를 위한 공부/일반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

by 자스민차향기조아 2020. 2. 14.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성취기준 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재구성 방법으로 다음의 3가지를 대표적인 재구성 방법으로 꼽을 수 있다.

 

교과서 활용 성취기준 중심 단원 재구성

교과서의 단원을 재구성하는 방법은 가장 기초적인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이다. 교과서는 전문가들에 의해 이미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연구된 교재로서 수업에 활용하기에 손색이 없는 교육자료라 할 수 있지만, 교과서에만 충실히 가르치는 것은 국가수준의 성취기준과 무관하게 수업하는 것은 아니면서도 한편으로는 교육과정의 운영 주체인 교사가 국가수준 교과 교육과정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무심하게 만든다.

교사 수준에서 지역의 특색, 학생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과서의 단원이 성취기준을 도달하는 데 있어 시수배정이나 학습할 내용이 적합한지를 검토하여 좀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차시나 내용을 증감하는 식으로 재구성하고, 그 다음 타 교과의 유사한 성취기준이나 학교 행사 등과 연계하여 단원별 지도 시기를 조정하게 되면 그게 곧 교육과정 중심 수업이 된다. 거기에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를 실시하고 피드백 계획까지 더하면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에 익숙해지면 점차 교과서만 들여다보던 의존도가 낮아지고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이 누적되어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도 그리 어렵지 않을 수 있다.

절차를 정리하면 아래 도표와 같으며, 재구성 방법에 필요한 요소는 학습내용의 순서 재배치, 시간 증감, 내용추가 또는 삭제, 축약, 대체, 이수시간 조정, 지도시기 조정 등이다.

교과서를 활용한 성취기준 중심 단원 재구성 방법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은 학생들이 배운 지식을 삶에서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도록 하려는 방향성을 갖는 방법이다. 단순히 주제 중심으로 병렬적인 성취기준 중심 교과 통합은 한계가 있으므로 실제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교과통합을 해야 한다. 주제 중심 교과통합은 학생이 속한 지역사회나 공동체에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는 문제나 테마를 주제로 하여 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특히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주제 중심 통합교육 상황에서 이해와 적응이 훨씬 수월하다는 측면도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을 고려할만 한 요인이 된다.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은 대체로 아래와 같은 절차를 제안할 수 있다.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 방법

 

 

이해 중심 단원 설계 재구성(백워드 설계)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의 경우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가 어려울 수도 있다고 지적하는 학자들도 있다고 한다. 아무래도 교과별 성취기준을 일부 가져와 통합하는 과정에서 연계가 매끄럽지 못하고 분절적으로 이루어지다보니 수업과 평가가 소위 따로 노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살펴보면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핵심개념을 나선형으로 심화하여 가르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브루너가 주창한 완전교육, 개념과 일반화의 영속적 이해에 기반한 것으로서 이해 중심 교육과정이라는 별칭이 붙은 만큼 이에 따라서 평가를 중시하는 백워드 단원 설계 방법이 현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교과서 내 단원 재구성의 방식이 평면적인 재구성이었다고 한다면, 백워드 설계 재구성 방법은 목표-평가-내용 순으로 기존과 역행하는 방식으로 설계하는 입체적인 방법이다. 각 교과의 핵심지식인 개념과 일반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되 평가계획을 먼저 구상하고 나서 수업을 진행해 나간다평가를 먼저 구상한 다음 이 평가항목을 토대로 수업을 해나가는 방법으로 전개된다. 백워드 설계에서 중요한 것은 가르쳐야 할 핵심 내용을 학생들이 제대로 이해했다면 그것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를 수업 전에 미리 구상함으로써 수업활동에 구심점을 주고, 내용에 대한 이해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가르치게 된다는 것이다. 즉, 평가는 이해의 청사진을 제공하여 핵심 내용과 수업 활동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처음 백워드 설계가 도입된 배경은 기존에 교사들이 갖고 있던 내용 및 방법 중심의 수업관에서 목표와 평가 중심의 수업관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비롯됐다. 수업을 통해 달성해야 할 목표(학습내용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무엇이 되어야 하며, 목표달성 정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사는 흥미 위주의 활동 수업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활동 자체보다 그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탐구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므로 진도 빼기 식의 수업이 아닌, 하나라도 제대로 이해시키는 수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교육과정은 가르쳐야 할 내용 목록이 아니라 우리가 의도하는 학습의 성과이다. 전통적인 활동 중심 수업 설계는 학습의 중요한 아이디어와 적절한 증거에 초점을 맞추지 못한다. 학생으로 하여금 명확한 학습목표를 인식하지 못하고 활동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학습이라는 생각을 갖게 만들기 때문에 교사들이 주어진 시간에 학습 내용을 단순히 전달하는 상황이 반복되는 내용 위주의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학생의 심층적 이해를 고려하지 않는 교육과정 개발이나 주제, 사실적 지식 나열은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 때문에 성취기준 활용 수업 설계를 위한 목표와 평가 중시 모형을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백워드 수업 설계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제안한다.

백워드 수업 설계 절차

 

댓글